안녕하세요 놀고먹는이리입니다.
오늘은 스위스 핸드폰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잘 모르지만 아는척좀 하겠습니다.
(잘못된곳 있으면 가감없이 질타해주시길 바랍니다.)
(모른다고 심하게.. 뭐라고 하지 마세요... 이리는 소심해서.. ㅠ.ㅠ 상처받아요)
먼저 스위스 통신회사는
스위스에서 가장큰.. Swisscom,
전 유럽에서 잘 알려져있는 Orange
그리고.. Sunrise.
그 외에.. Yallo, Mobilezone net, Coopmobile, M-budget 등등이 있습니다.
(먼저 통신사정도는 알고 있어야죠.. ^^;)
핸드폰을 구입하는 방법에는 세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선불폰을 구입하는 것과 ..
두번째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약정폰을 구입하는 경우 (12개월 또는 24개월)
세번째는 가지고 계신 핸드폰에 Sim카드를 끼워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선불폰과 선불 Sim카드의 경우 여권만 있으면 만드실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정이나 기본료를 내고 사용하는 핸드폰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방식)의 경우 Permis (거주증)이 필요합니다. (기본료를 내는 Sim카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약정폰을 구입하실경우에는 Permis의 유효기간이 6개월 이상 남았을 경우에 구입 가능합니다.
저희가족 4개월 남았다고 안된다더군요..ㅠ.ㅠ (내년도 고용계약서를 가져와도.. Permis가 없으면 안된다는)
유럽의 핸드폰은 같은 방식인 GSM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럽 어디에서 핸드폰을 구입하셔도 각 나라마다 파는 Sim카드를 바꾸어 끼면 그 나라 핸드폰 처럼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핸드폰은 CDMA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럽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하네요.)
또한 로밍 서비스가 잘 되어있어서 가격도 그렇게 안비싸고(??) 쉽게 사용하실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가 알아본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자동로밍폰이 있는데..
그 핸드폰에 유럽 Sim카드를 끼우면 안된다고들 하네요. (Sim카드 Lock이 걸려있어서 다른 Sim카드를 거부한다는...ㅠ.ㅠ 그게 되면 얼마나 좋아..)
자 그럼
핸드폰을 구입해볼까요..
먼저 핸드폰을 파는 매장에 갑니다.
보통 핸드폰은 왠만한 전자제품 판매점.. (Interdiscount, Fust, M-electronics, Media Markt 등등 그리고 핸드폰 전용샾인 Mobile Zone, 마지막으로 통신사 매장, Swisscom, Orange등등..) 에서 다 팔고 있습니다.
다만 몇가지 통신사 제품은 특정 매장에서만 판매한다는점을 유념하시길..
예를 들어..
Mobile Zone Net 은 Mobile Zone 에서만..
Coop Mobile 은 Interdiscount 에서만..
M-Budget Mobile 은 M-electronics 에서만..
각 통신사 매장에서는 해당 통신사 제품만
구입이 가능합니다.
먼저 각통신사 별로 어떤 요금제가 있는지 가격은 얼마인지 알아야겠죠..
먼저 Swisscom
스위스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으로..
가정집 전화기도 거의 대부분이 Swissco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KT와 비슷한 회사입니다.)
이 회사에 가장 큰 특징은 Swisscom핸드폰에서 Swisscom가정집, Swisscom가정집에서 Swisscom핸드폰, 그리고 Swisscom핸드폰에서 Swisscom핸드폰의 경우..
1시간동안 0.3-0.8프랑(대부분이 0.8프랑)의 요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분단위가 아니라 시간 단위입니다.)
그리고 다른 통신사에 전화할 경우 1분당 0.3-0.7프랑의 요금이 부과가 됩니다.
또한 문자 메세지의 경우 한 문자당 0.2프랑 정도의 요금이 부과됩니다.
하지만 선불폰(Pre-Paid)의 경우 위에 혜택을 받습니다. ^^
가장 비싼요금 0.8프랑(체감 요금은 분당 1프랑정도)을 지불해야합니다.
그리고 선불폰까지도 자동로밍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가 선불폰을 가지고 있는데.. 제가 받은 문자로는..
(해외에서 사용시 -EU국가만 해당- 거는것 분당 0.85프랑, 받는것 0.4프랑, 문자 0.9프랑입니다.)
한달 기본요금은 12프랑에서 55프랑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두번째로 Orange
원래 프랑스 회사로 유럽에서 가장 큰 통신회사라고 보시면 됩니다.
요금제중 특이한 것은.. Optima요금제를 선택할 경우 3개의 오렌지 번호를 선택하실수 있는데
이번호에 대한 통화 요금은 무료입니다. 또한 무료통화 30분에서 400분까지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족끼리 또는 연인끼리 쓰면 좋은 요금제 입니다.
물론 오렌지도 선불폰이 있으나.. 선불폰의 경우에는 위의 혜택을 받으실수 없습니다.
요금은 분당 0.2-0.5프랑, 문자서비스는 0.1-0.25프랑입니다.
기본요금은 12프랑에서 120프랑까지 있습니다.
대부분의 한국 유학생분들이 많이 선택하는 요금제입니다.
(사업을 하시거나 전화를 많이 거시는 분들은 보통 Swisscom을 이용하시더라고요)
저도 들은 이야기지만 프랑스는 자동로밍이 되지만 다른나라의 자동로밍을 신청하려면
핸드폰을 만든후 몇개월(약 3개월)뒤에 로밍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확인된 사실은 아닙니다.)
세번째 Sunrise
선라이즈의 특징은 없습니다...ㅠ.ㅠ
기본요금은 25프랑과 50프랑짜리가 있으며
요금제는 기본요금 25프랑은 분당 0.35프랑이며 기본요금 50프랑은 분당 0.25프랑입니다.
문자서비스는 0.1프랑입니다.
선불폰의 경우 분당 1.0프랑입니다.
사람들이 별로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네요.
(제가 못들어서 그런건지 몰라도.. 저걸 쓰시는 한국분들을 거의 보지 못해서요.. )
네번째로 Yallo
기본요금은 25프랑이며 통화요금은 분당 0.35프랑 정도입니다. 문자서비스는 0.1프랑입니다.
물론 선불폰도 있으며 가격은 거의 비슷합니다.
다섯번째로 Mobile Zone Net
와이프가 사용중인 폰으로
기본요금은 29프랑 통화요금은 분당 0.29 또는 0.39프랑입니다. 문자서비스는 0.19프랑입니다.
저녁 9시 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 요금이 할인되며 Coop Mobile과의 통화도 할인이 됩니다.
선불폰의 경우 분당 49프랑의 통화요금이 부과됩니다.
밑에 Powered by Orange 라고 써있죠.. Orange 회선과 전화기를 사용하는 회사입니다.
따라서 나중에 Orange로 바꾸실 경우 가지고 계신 번호를 그대로 쓰실수 있습니다.
여섯번째로 M-Budget
선불폰만 판매하며 통화요금은 분당 0.29프랑
(모든 유럽에서 동일 요금을 적용한다고 하는데.. 확인이...^^; 홈페이지에는 그렇게 쓰여있습니다.)
그리고 문자서비스는 0.1프랑입니다.
일곱번째로 Coop Mobile
역시 선불폰만 판매하며..
분당 0.30프랑 문자서비스는 0.1프랑입니다.
(정확하진 않습니다. 매장에서 물어보셔야 할듯하네요.)
선불폰임에도 불구하고, 약정서비스를 운영중인데요.
12개월 약정을 하면. 분당 통화료가 0.05프랑으로 내려갑니다.
하지만 달달이 기본료를 내야한다고 써있네요. ^^;
(선불폰에 기본료라... 참 아이러니 하지만.. ^^;)
Mobile Zone Net 과 마찬가지로 Orange 회선을 쓰는 통신사입니다.
마지막으로 LEBARA
처음보는 브랜드네요.. ^^;
선불폰인듯 하고요.
요금제는 스위스내 유선전화는 분당 0.35프랑, LEBARA끼리는 무료, 다른 모바일은 0.45프랑입니다.
문자서비스는 0.1프랑입니다.
로밍서비스는 각 나라별로 요금이 틀리네요.
자 여기까지 요금제를 알아봤습니다.
한국의 경우 10초당 8원 많아야 15원 정도 해서 분당 100원 정도 나오는 반면..
스위스의 경우 최대 분당 1000원 정도가 나옵니다.
그래서 잘 안쓰게 되지요.. ㅠ.ㅠ
잘 알아보시고 결정하시는것이 좋으실듯 하네요.
그럼 핸드폰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인가요?
핸드폰은 NOKIA, MOTOROLA, SAMSUNG, LG, SONY-ERICSSON, HTC 등등이 있네요.
그리고 제가 사고 싶은 i-phone 까지.. ^^;
(Mobile zone 에서 판매하는 삼성 핸드폰)
집으로 이런 팜플릿 (Brochure)이 자주 날라옵니다. (보통 Mobile Zone 입니다.)
거기서 따온 그림인데요
위의 그림을 보시면 오른쪽 아래 Swisscom 일경우 얼마, Orange일 경우 얼마.. 등등 써있습니다.
이것은 해당 요금제를 12개월 또는 24개월동안 약정했을때 핸드폰의 가격입니다.
밑에 499.95프랑은 약정없이 핸드폰을 구입했을 경우의 가격입니다.
보시면 Sunrise 의 경우 24개월 약정할 경우 핸드폰을 무료로 준다고 써있네요.
또한 아래 작은 글씨로 보험에 대해서 써있는데 달달이 약 8프랑정도..
이 보험을 들게 되면 핸드폰을 물에 빠뜨렸을 경우나.. 사고가 아닌 본인 부주의로 핸드폰이 부서졌을 경우에도 무상으로 수리가 가능한 보험입니다.
다만 한달에 8프랑 (약 9천원)정도의 돈을 내야한다는것이 조금 걸리네요..
이 보험이 아니더라도 핸드폰의 경우 대부분 2년동안 무상수리기간이 주어집니다.
이것은 선불폰에도 해당되며 (저의 와이프의 경우 1년 반정도 지난 핸드폰이 고장났는데 무상으로 고쳤습니다.) 본인의 과실이나 배터리 방전이 아닌경우에는 어떤 수리라도 가능합니다.
(한국처럼 어떻게든 본인과실로 뒤집어 씌울려고 하진 않습니다. 가져가서 고장났다 그러면 대부분 교환해 주거나 수리해 줍니다. 그리고 추가 비용도 거의 없습니다.)
이렇듯 자신이 원하는 통신사와 핸드폰을 선택하신후 가까운 매장이나 아니면 싸게 파는 매장에 가셔서 핸드폰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i-Phone 의 경우에는 요금제가 틀립니다.
(기본요금이 비쌉니다.) 하지만 폰 자체의 성능이 좋고..
가장 좋은 장점은 무선인터넷이 된다는 것입니다.
핸드폰 회선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가 아닌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되는곳이면 사용이 가능하다는것..
(우리나라의 통신업체들이 i-phone을 수입을 거부하는 여러가지 이유중 하나입니다.)
아이폰의 경우에는 요금에 대해 많은 변수가 있기에 핸드폰 매장에서 직접 알아보시는것이 가장 좋을듯 하네요.
주저리 주저리 쓰다보니 길어졌네요..
이제 저도 새로운 Permis(거주증)가 나오면 핸드폰 갈아탈려고요...
위에 나온 삼성것으로 갈아탈려는 중인데.. (현재 Swisscom 선불폰을 사용중이고 워낙 번호를 많이 알려놔서.. Orange로 갈아탈려고 하는데..) Sim카드를 두개 다 써야 할것 같아 저 기종을 선택했습니다.
뭐.. 둘다 된다면 상관없는데.. 안된다면... 그냥 제꺼써야죠..
(스위스컴 너무 비싸요..ㅠ.ㅠ)
앞에서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혹시 잘못된 곳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그럼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다음엔 더 좋은 글을 올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P.S. 스위스 레만한인회의 옥쌤님께서 올리신 글의 내용입니다. (2009. 9. 15)
"현재 Orange에서 아이폰을 사려면 1달을 기다리셔야 하는데 제네바 시내 애플매장에 가시면 바로 개통하실수 있답니다."
정보를 제공해 주신 옥쌤님께 감사드립니다. ^^
'스위스 이야기 > 스위스 생활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스를 알려주마 (스위스 물가) (0) | 2010.02.16 |
---|---|
스위스를 알려주마 (운전 및 주차) (0) | 2009.09.26 |
스위스를 알려주마 (운전면허증 2편) (0) | 2009.07.21 |
IKEA 를 다녀와서 (0) | 2009.01.11 |
로잔공대 (EPFL) 과 로잔대학 (UNIL)에 오시는 분들을 위한 집구하기 및.. (0) | 2008.12.16 |